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계양구의회 GYEYANG-GU COUNCIL
  • 계양구의회 GYEYANG-GU COUNCIL
  • 계양구의회 GYEYANG-GU COUNCIL
  • 계양구의회 GYEYANG-GU COUNCIL

전체 보기

메뉴별 보기

분야별정보

가나다순 보기

전체메뉴 닫기

관련누리집


  1. HOME
  2. 정보공개
  3. 행정소식
  4. 공지사항

공지사항

공지사항

2025년 달라지는 계양 출산정책

작성자
출산정책팀
작성일
2025년 2월 24일(월)
조회수
946
전화번호
032-450-5983


인천 각 구별로 차등 지원하던 출산지원금을 통합하여 i+1dream 사업을 추진합니다.

(강화군ㆍ옹진군을 제외한 인천시 8개 구의 출산관련 지원금은 24년생까지 지원 후 사업 일괄 종료)

 

(2025년생 기준) 인천에서 태어난 아기 1명이 받는 지원금은?

  임신기(150만원), 유아기(6,340만원), 학생기(3,630만원) 1120만원 지원

     임신기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100만원, 임산부 교통비 50만원

    유아기(0~7세) :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부모급여 1,800만원, 아동수당 960만원, 보육료·급식비 2,540만원, 천사지원금 840만원

    학생기(7~18세) : 초중고 교육비 1,650만원, 아이꿈수당 1,980만원

      * i+1dream 추진사업

    

 

i+1dream 사업이란?

  인천시와 계양구가 함께 추진하는 저출생 대응 정책으로 임신 기간부터 18세까지 중단없이 지원합니다.   

 

󰊱 임산부 교통비 지원

ㆍ지원대상 : 임산부

ㆍ지원자격 : 인천시 6개월 이상 거주한 임산부

ㆍ신청기간 : 임신 12주부터 출산일로부터 90일까지

ㆍ지원금액 : 계양e음 교통비 포인트 50만원

ㆍ지 급 일 : 신청일 기준 익월 15

ㆍ신청방법 : 정부24 온라인 신청

 

󰊲 천사지원금

ㆍ지원대상 : 1~7(2023.1.1. 이후 출생아)

ㆍ지원자격 : 부 또는 모와 주민등록을 같이 두고 인천시에 1년 이상 거주한 아동

ㆍ신청기간 : 매년 아동의 생일로부터 60일 이내 신청

ㆍ지원금액 : 계양e음 포인트 매년 120만원

ㆍ지 급 일 : 신청일 기준 익월 20

ㆍ신청방법 : 정부24 온라인 신청

 

󰊳 아이꿈수당

ㆍ지원대상 : 8~18(2016.1.1. 이후 출생아)

ㆍ지원자격 :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인천광역시에 주민등록 등재된 아동

ㆍ신청시기 : 아동수당 중지된 다음 달(생일 월) 신청 가능

ㆍ지원금액 : 계양e음 포인트 매월 5만원(`16~`17년생)  * 출생 연도별 차등 지원

ㆍ지 급 일 : 매월 25

ㆍ신청방법 : 정부24 온라인 신청

 

기존 계양구 출산관련 지원금은 20241231일생까지 지원 후 사업 종료

출산장려금 : 셋째 300만원(일시금 100만원, 분할지원금 월20만원씩 10), 넷째 이상 500만원(일시금 200만원, 분할지원금 월30만원씩 10)

입양장려금 : 6세 미만 입양 아동 지원(일시금 200만원)

다자녀 가정 양육비 : 6세 미만 둘째 이상 아동 월 10만원 지원(0~71개월)

 

문의

ㆍ임산부 교통비, 천사지원금 : 계양구청 여성보육과(450-5983)

ㆍ아이꿈수당 : 계양구청 아동보호과(450-5399)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 출처표시

목록

  • 공지사항 QR코드
  •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다른 스마트 기기로 보고 싶다면

    왼쪽 정보무늬 [QR Code] 를 찍어 보세요.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 홍보미디어실
  • 담당팀 : 정보화팀
  • 전화 : 032-551-5701

위로
[21067]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새로 88(계산동) 전화번호 : 032-551-5701(365일 24시간)

Copyright ⓒ Gyeyang-gu District Incheon Metropolitan City.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ACCESSIBILITY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